Skip to main content

헥사곤 자료 리소스 센터

건설 프로젝트에 BIM을 사용해야 하는 일곱 가지 이유

BIM(건설 정보 모델링)은 병원부터 교량, 올림픽 수영장, 구글 본사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에서 다양한 유형의 프로젝트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BIM을 사용하는 기술은 점점 더 필수적인 커뮤니케이션 및 조직 도구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그럴 만한 이유가 있습니다. 특히, 대규모의 복잡한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BIM은 일정 관리, 비용 관리, 프로젝트 조정, 품질 관리, 위험 관리를 개선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왜 아직 모두가 동참하지 않을까요?

그 이유는 프로젝트 계획 및 조정에 BIM을 통합하면 완전히 다른 작업 방식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일반적인 오해 때문입니다. 

사실 그렇지 않습니다.

업무 방식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업무 방식을 개선하는 것입니다. 계획과 일정 관리의 기본은 그대로 유지됩니다. 진정한 차이점은 프로젝트 전체에 대한 실시간 가시성을 확보하여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목표는 의사 결정에서 전문가들의 경험과 통찰력을 무시하는 것이 아니라 중요한 결정을 신속하고 자신 있게 내리는 데 필요한 도구와 정보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건설 업체가 현장 관리를 개선하는 일곱가지 BIM 활용 방법을 소개합니다.

1. 더 쉬운 예산 관리

BIM을 사용하면 모든 프로젝트 정보가 한 곳에 저장됩니다. 진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추적하고 프로젝트의 재무 성과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용을 정확하게 추정하기가 훨씬 쉬워져 현장 상황을 예산에 반영할 수 있습니다. 주문 및 공급망을 관리하여 필요할 때 필요한 것을 확보하고 낭비, 중복, 장비 과잉의 위험 등을 제한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뿐만 아니라, 잠재적으로 많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사전에 발견하고 방지할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비용 절감 효과를 가져다 주며, 예기치 않은 문제로 인해 수익 수익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2. 커뮤니케이션의 개선

BIM을 사용하면 프로젝트의 모든 단계에서 모든 이해 관계자들에게 최신 프로젝트 정보와 모델에 액세스를 제공하여 최신 정보를 훨씬 쉽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프로세스의 현재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어 오해와 충돌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팀 전체가 신뢰할 수 있는 최신의 단일 정보 소스 역할을 합니다.

3. 리스크 감소

계획, 예산, 일정이 정확할수록 프로젝트 리스크는 낮아집니다. 특정 프로젝트 뿐만 아니라 향후 프로젝트도 마찬가지입니다. BIM을 사용하면 프로세스를 표준화하고 성공적인 결과에 도달한 방법을 정확하게 문서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작업이 끝난 후에도 데이터가 손실되지 않습니다.

4. 마이크로 매니지먼트 감소

BIM 도구가 일정 관리와 4D 워크플로 기능을 제공한다면 이는 엄청난 가치를 더합니다. 프로젝트의 스케줄러, 즉, 마스터 일정을 소유하고 관리하는 사람의 관점에서 생각해 보세요.

작업 인력이 많은 복잡한 프로젝트에서 스케줄러는 금방 업무 과부하가 걸릴 수 있습니다. 이들은 끊임없이 문의를 받고, 계획이 조금만 변경되어도 모든 사람에게 개별적으로 업데이트해야 합니다. 사소한 일에 땀을 흘리는 것이 반드시 그들의 전문성을 가장 잘 활용하는 것은 아닙니다.

스케줄러는 모든 사소한 세부 사항에 얽매이거나 회의에서 사람들을 업데이트하는 데 일주일의 절반을 소비하기 보다는,  이제 BIM을 사용하여 일정 작업을 처리할 팀에 위임함으로써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스케줄러는 불필요한 수작업과 중복된 노력으로부터 자유로워집니다. 또한, 모든 정보가 디지털화되어 실시간으로 액세스 및 업데이트되므로 모든 관련 담당자들에게 최신 정보를 제공하는 데 시간을 낭비할 필요가 없고, 결과적으로 엄청난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5. 일정 준수

BIM이 제공하는 시간 절약은 워크플로 간소화와 지연 감소로 이어져 일정을 훨씬 쉽게 준수할 수 있게 해줍니다.

또한, 건설업체는 프로젝트 진행 상황을 전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므로 병목 현상이나 기타 문제가 발생하는 위치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최선의 조치에 대한 중요한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으므로 사소한 문제가 확대되어 프로젝트의 전체 일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6. 업계 모범 사례로 빠르게 자리 매김

BIM에 관한 한, 그 진가는 이미 드러났습니다. 점점 더 많은 건설 업체와 운영 소유주가 이 기술이 일정과 프로젝트 관리에 가져다 주는 가치를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는 건설업체가 일정과 예산을 준수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전체 프로세스를 더욱 투명하게 만들어 줍니다. 

건설업체의 BIM 사용에 대한 요구가 점점 더 커지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모든 일에 BIM을 사용해야 한다고 기대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이는 작업 방식을 혁신하는 것이 아니라 골치 아픈 문제를 해결하는 것입니다. 선택한 기술은 프로젝트 중에 발생하는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고, 예측하고, 해결할 방법을 찾는 데 도움이 되어야 합니다. 

궁극적으로는 여러분이 전문가입니다. 여러분은 어떤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 알고 있습니다.  BIM이 가장 유용한 부분과 이 프로젝트에 사용할 가치가 없는 부분을 결정하는 것은 여러분에게 달려 있습니다.

7. 모든 프로젝트는 프로토타입 

공항, 병원, 실험실과 같은 크고 복잡한 프로젝트에 BIM을 사용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이러한 유형의 건물은 수많은 공정 배관과 조정 문제가 있는 복잡한 설계입니다. 

따라서, 모든 구성 요소를 미리 세밀하게 검토해야 하며, 이를 위해 BIM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건설 프로젝트가 똑같을 수는 없습니다. 비교적 간단한 구조라도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형 박스 스토어 건설 프로젝트를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핵심 구조는 매우 기본적인 모양으로 빠르게 구축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BIM이 필요할까요? 콘크리트 벽 패널에 철골 빔과 임베디드 플레이트를 정렬하는 것과 같은 정밀한 작업을 할 때는 확실히 유용합니다. 이 프로젝트에서 BIM을 사용하여 포메이션에서 임베디드 철골의 배치를 조정하는 데만 도움이 되더라도 판도를 바꿀 수 있습니다.

또한, 반복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건물 구성 요소가 있는 경우, 이를 완벽하게 구현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실수를 깨닫기 전에 같은 문제를 반복해서 반복할 수 있습니다.

결론: 사용자의 전문성을 최대한 활용하는 BIM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BIM 사용의 요점은 전문가들과 스케줄러가 상위 레벨의 계획, 관리 및 조정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이점을 얻으려면 올바른 종류의 BIM 기반 도구를 선택해야 합니다.

업무를 더 쉽게 만들려면 새롭고 전문적인 기술을 배우지 않고도 팀이 쉽게 익히고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접근성이 뛰어나야 합니다. 

결국, 모든 기술의 목표는 작업량을 늘리는 것이 아니라 간소화하고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어야 합니다.

헥사곤이 SmartBuild 플랫폼에서 BIM을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HxGN Smart Build™ 인사이트를 클릭하여 확인하십시오. 

About the Author

Brian is an experienced corporate marketing, sales, consulting services and engineering professional with more than 39 years working with engineering systems supporting the AEC industry. He has worked on design teams in: wastewater treatment, petrochemical, fossil fuel and nuclear power plant, product design and manufacturing facilities, utilities, biotech, pharmaceutical and government lab facilities and transportation. He is degreed in computer aided drafting and design, graduating Suma Cum Laude from Johnson and Wales University and is also certified in mechanical engineering technology, graduating Suma Cum Laude from Sawyer School.

Profile Photo of Brian Moura